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부산광역시
- 타인의
- 고통에
- 횡스크롤
- 파이썬 기초
- 응답하는
- 공부
- 사회
- 사법
- 정치
- 지금다시헌법
- pygame
- 파이썬
- 사회이슈
- 헌법
- python
- 사법부
- 사회면
- 연구하며
- 맵
- 점프
- 글쓰기
- Latent Dirichlet Allocation
- LDA
- 네트워크
- 공간밀도
- 지금 다시
- 주요일간지
- 파이게임
- 과학의과학
- Today
- Total
RoNS 님의 블로그
[Python] 1-2. 숫자 본문
저번 글에서는 자료형과 문자열에 대한 내용을 정리했다.
이번 글에서는 파이썬에서 사용하는 숫자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숫자는 수를 나타내는 글자이다. 우리가 어렸을 때부터 수학을 통해 많이 접해봤으므로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파이썬에서는 숫자를 소수점이 있는 숫자와 소수점이 없는 숫자로 구분한다.
1. 숫자의 종류
정수형(int) : 소수점이 없는 숫자
실수형(floating point) : 소수점이 있는 숫자
* 부동 소수점 : 소수점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지수를 사용하여 소수점의 위치를 나타냄
ex) 62.503 --> 0.62503 X 102
Python에서 숫자를 만들려면 그냥 숫자를 입력하면 된다:
print(1004)
# 출력 결과 : 1004
print(43.12)
# 출력 결과 : 43.12
위의 코드는 간단한 예로 정수형 숫자와 실수형 숫자를 출력해봤다.
각 숫자의 유형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앞의 글에서 배웠던 type() 함수를 사용해서 확인해보면 된다:
print(type(1004))
# 출력 결과 : <class 'int'>
print(type(43.12))
# 출력 결과 : <class 'float'>
* 파이썬에서 부동 소수점을 지수승으로 표현하는 방법 :
파이썬으로 만들어진 수학 연산을 보면 0.38432e2 혹은 0.38432E2 와 같은 형태의 숫자 표현을 볼 수 있다.
이는 파이썬에서 부동 소수점을 지수승으로 표현하는 방법이므로 0.38432 X 102라고 생각하면 된다.
2. 숫자 연산자
문자열에서 연산자를 사용했던 것과 같이 숫자에도 연산자를 적용할 수 있다.
- 사칙 연산자 : +, -, *, /
- 정수 나누기 연산자 : //
- 나머지 연산자 : %
- 제곱 연산자 : **
사칙 연산자는 다들 의미를 알고 있을 것이므로 넘어가겠다.
정수 나누기 연산자는 숫자를 나누고 소수점 이하의 자릿수를 떼어 버린 후, 정수 부분만 남기는 연산자이다:
3 // 2
# 출력 결과 : 1
10 // 3
# 출력 결과 : 3
3에서 2를 나누면 1.5라는 값으로 계산이 되지만, 여기서 소수점을 버리고 정수 부분만 가져와서 1이라는 결과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고, 10에서 3을 나눈 값 또한 그와 같은 형태로 정수부분만 가져오는 것을 볼 수 있다.
나머지 연산자는 A에서 B를 나누었을 때 남은 나머지 값을 가져오는 연산자이다:
5 % 2
# 출력 결과 : 1
10 % 3
# 출력 결과 : 1
출력 결과들을 보면 값을 나눴을 때 나오는 몫과 나머지 중 나머지의 값을 가져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곱 연산자는 말 그대로 값을 제곱해 주는 연산자이다:
2 ** 2
# 출력 결과 : 4
3 ** 3
# 출력 결과 : 27
연산자에는 우선순위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것이다. Python에서도 이 우선순위에 따라 계산된다는 것을 알고 있으면 된다.
* 연산자의 우선순위가 헷갈릴 때, 괄호( )를 사용하면 편리하다.
3. TypeError
앞 글에서 배운 문자열 자료와 현재 글에서 배운 숫자형 자료를 같이 사용하다 보면 TypeError가 발생할 수 있다:
number = 2025
string = '년도'
print(number + string)
# 출력 결과 : TypeError: unsupported operand type(s) for +: 'int' and 'str'
위의 코드처럼 서로 다른 자료인 문자열과 숫자를 + 연산자로 연결하게 되면 TypeError가 발생하게 된다.
TypeError가 발생하면,
내가 짠 코드에서 연산하려는 자료형이 서로 다른 자료형인지 확인하면서 코드를 짠다면 에러를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Crawl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1-3. 변수 (1) | 2025.05.22 |
---|---|
[Python] 1-1. 자료형과 문자열 (4) | 2025.04.19 |
[Python] 입문 전 꼭 알아야 할 것들 (0) | 2025.04.15 |
[LDA 이해하기] Dirichlet Allocation (2) | 2025.04.12 |
[Web Crawling with Python] 파이썬을 이용한 정적 웹 페이지 크롤링 하기(네이버 뉴스) (4) | 2025.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