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사회
- 점프
- 사회이슈
- 사회면
- 공간밀도
- 사법부
- 네트워크
- 과학의과학
- 지금 다시
- 파이게임
- 연구하며
- 맵
- 헌법
- 파이썬 기초
- 공부
- 정치
- 지금다시헌법
- LDA
- 부산광역시
- python
- 글쓰기
- 횡스크롤
- 사법
- 타인의
- 고통에
- 파이썬
- Latent Dirichlet Allocation
- 주요일간지
- pygame
- 응답하는
Archives
- Today
- Total
RoNS 님의 블로그
[Cities]📍지리공간정보 자료 분석, 어디서부터 시작할까? 본문
728x90
지리공간정보는 위치, 형태, 관계 등 지표면상의 특성을 담고 있는 데이터를 말합니다. 우리는 이 데이터를 이용해 지도 제작, 공간 분석, 도시 계획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지리공간정보의 구조
공간자료는 크게 벡터 데이터와 래스터 데이터로 나뉩니다.
- 벡터 데이터: 점(Points), 선(Lines), 면(Polygons)으로 공간의 구조를 표현
- 래스터 데이터: 픽셀로 구성된 그리드 형태의 데이터
이들을 다루기 위해 R에서는 sp 패키지를 사용하며, 공간 객체의 정의와 속성 데이터를 함께 다룰 수 있는 다양한 클래스 구조를 지원합니다.
🧭 좌표와 기준, 어떻게 정할까?
- 준거타원체 (Reference Ellipsoid)
- 지구의 평균적인 형태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한 것으로 WGS84가 가장 널리 사용됨
준거타원체 적도반경(km) 평편률(a-b)/a 사용국가 Everest(1830) 6,377.276 1/301 인도 Bessel(1841) 6,377.397 1/299 한국, 일본, 독일 Airy(1844) 6,377.563 1/299 영국 Clarke(1866) 6,378.206 1/295 북아메리카 Clarke(1880) 6,378.249 1/293 프랑스, 남아프리카 International(1924) 6,378.388 1/297 국제적 채택 Krasovsky(1938) 6,378.245 1/298 러시아 GRS80(1980) 6,378.135 1/298 국제적 채택 WGS 84(1984) 6,378.137 1/298 세계적 적용
- 지구의 평균적인 형태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한 것으로 WGS84가 가장 널리 사용됨
- 측지계 (Geodetic System)
- 타원체 + 기준점 + 방향 등을 조합하여 위치를 정의
- 국가마다 다르며, 현재는 세계측지계(WGS84)로 통일되는 추세
준거타원체
(Ellipsiod)측지계 원점
(Datum)지구 중심과의 Offset WGS84 WGS87 (0, 0, 0) GRS80 GGRS87 (199.87, 74.79, 246.62) GRS80 NADS87 (0, 0, 0) Clarke66 NAD27 Nadgrids=conus, Alaska, ntv2_0.gsb, ntv1_can.dat Bessel Potsdam (606.0, 23.0, 413.0) Clarke80 Carthage (-263.0, 6.0, 431.0) Bessel Hermannskogel (653.0, -212.0, 449.0) Mod_Airy Lre65 (482.530, -130.596, 564.557, -1.042, -0.241, -0.631, 8.15) International Nzgd49 (59.47, -5.04, 187.44, 0.47, -0.1, 1.024, -4.5993)
- 좌표계 (Coordinate System)
- 지리좌표계(위도/경도), 직교좌표계, UTM 등 다양한 표현 방식 존재
- 부산광역시 시군구 좌표를 활용해서 시각화해 보면, 아래와 같은 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구분 위도 경도 중구 35.105601 129.031586 서구 35.105148 129.015296 동구 35.128459 129.04579 영도구 35.080076 129.065031 부산진구 35.166363 129.045128 동래구 35.202557 129.083946 남구 35.126529 129.094411 북구 35.203438 129.001577 해운대구 35.174329 129.179479 사하구 35.092641 128.981529 금정구 35.26155 129.095727 강서구 35.129687 128.915408 연제구 35.187198 129.084021 수영구 35.162158 129.123263 사상구 35.16001 128.990803 기장군 35.301245 129.215004
728x90
'Cit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ties]지리공간정보의 그래프와 기초분석 : GIS의 시작점(3) (0) | 2025.05.08 |
---|---|
[Cities] 지리공간정보의 그래프와 기초분석(2) (0) | 2025.05.01 |
[Cities]📘토지거래허가제도와 부동산 공공성과 사적 권리 (0) | 2025.04.06 |
[Cities]부동산 분석을 위한 OpenStreetMap 활용 (Part 2) (0) | 2025.03.20 |
[Cities]부동산 분석을 위한 OpenStreetMap 활용 (0) | 2025.03.14 |